한국어학부

보내기

한국어교육전공 교육과정

한국어교육전공 교육과정 학년별, 학기별 테이블
학년 1학기   2학기
과목구분 과목명 학점   과목구분 과목명 학점
1 전선 한국어 어문규정  3   전선 한국어 기초문법  3
전선 한국어 기초문법   3   전선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   3
전선 한국어 화법의 이해  3   전선 한국어학의 이해   3
전선 언어학의 이해   3   전선 한국어교육과 언어교수이론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3        
2 전선 한국어 단어의 이해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   3
전선 외국어습득론   3   전선 한국어 어휘교육의 이론과 실제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3   전선 응용언어학  3
전선 한국문화와 타문화 이해  3        
전선 한국 문학의 이해   3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  3   전선 대조언어학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론  3
전선 동남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3   전선 영어권 한국어교육론  3
전선 한국문화교육론  3   전선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3
        전선 한국어교육과 멀티미디어  3
        전선 한국어 의미화용론  3
        전선 다문화사회 교수방법론 [공동]   3
4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론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3
전선 동북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3   전선 한국 언어문화의 이해  3
전선 한국어교육실습  3   전선 한국 대표 문학작품 감상   3
        전선 한국어교육실습  3
        전선 다문화사회교육론 [공동]  3

위 교육과정상의 과목 중 일부는 학과 사정으로 개설되지 않을 수 있음

영역별 한국어교육전공 교과목

영역별 한국어교육전공 교과목 영역, 학기별 테이블
구분 1학기   2학기
1영역 한국어 어문규정   한국어 기초문법
한국어 기초문법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
한국어 단어의 이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
한국어 화법의 이해   한국어 의미화용론
(총 4과목)   한국어학의 이해
    (총 5과목)
2영역 언어학의 이해   응용언어학
외국어습득론   대조언어학
(총 2과목)   (총 2과목)
3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한국어교육과 언어교수이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   한국어 어휘교육의 이론과 실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론
동남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영어권 한국어교육론
한국문화교육론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론   한국어교육과 멀티미디어
동북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총 8과목)   (총 7과목)
4영역 한국문화와 타문화 이해   한국 언어문화의 이해
한국 문학의 이해   한국 대표 문학작품 감상
(총 2과목)   (총 2과목)
5영역 한국어교육실습   한국어교육실습
(총 1과목)   (총 1과목)

20-2학기 이후 '한국 언어문화의 이해' 수강 시 2020년 8월 국립국어원 심사 결과에 따라 4영역으로 인정됨

언어권별 한국어교육론(예: 영어권, 동북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동남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은 국립국어원 심사 시 이수 과목 개수에 상관없이 3영역 1과목(3학점)으로만 인정됨

한국어교육실습 과목은 아래 사전 필수 이수 과목을 포함하여 1, 3영역 8과목(24학점) 이상 이수 시 수강 가능함

‘대조언어학’은 ‘언어의 보편성과 특수성’과 학수번호가 같은 과목임으로 ‘언어의 보편성과 특수성’ 재수강 시 ‘대조언어학’으로 대체 수강신청이 가능함.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에 필요한 영역별 필수이수학점 (제13조 제1항관련)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에 필요한 영역별 필수이수학점 - 영역, 필수이수학점으로 구성
영역   필수이수학점(전공)
1영역 한국어학   6학점
2영역 일반언어학 및 응용 언어학   6학점
3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24학점
4영역 한국 문화   6학점
5영역 한국어교육실습   3학점

※ 한국어교육실습 사전 필수 이수 교과목

한국어교육실습 사전 필수 이수 교과목 - 구분, 과목명으로 구성
구분 과목명
1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또는 한국어 기초문법), 한국어 어문규정
3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또는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한국어교육과 언어교수이론

2022년 이전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교육론’ 수강자는 한국어교육실습 수강 자격 요건으로 인정함.

한국어전공 교육과정

한국어전공 교육과정 학년별, 학기별 안내 테이블
학년 1학기   2학기
과목구분 과목명 학점   과목구분 과목명 학점
1 전선 초급 한국어1 3   전선 초급 한국어1 3
        전선 초급 한국어2 3
2 전선 중급 한국어1 3   전선 중급 한국어2 3
전선 요리하며 배우는 한국어 3   전선 중급 한국문화 읽기 3
전선 미디어로 배우는 한국어 3   전선 비즈니스 한국어 입문 3
전선 여행 한국어 3   전선 공인한국어시험 3·4급 연습 3
3 전선 고급 한국어1 3   전선 고급 한국어2 3
전선 실전비즈니스 말하기 듣기 3   전선 실전비즈니스 읽기쓰기 3
전선 실용 한자어 3   전선 공인한국어시험 5·6급 연습 3
전선 경제 한국어 3   전선 한국어 통번역 입문 3
4 전선 한국어 관용표현 3   전선 한국어 시사표현 3
전선 한국사회의 이해 3   전선 인물한국사 3
전선 비즈니스 한국어 프레젠테이션 3   전선 한국문학의 세계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공동] 3   전선 한국어 기초문법 [공동] 3

수준별 한국어전공 교과목

수준별, 학기별 한국어전공 교과목
구분 1학기   2학기
초급
(TOPIK 1 ~ 2급)
    초급 한국어1
초급 한국어1   초급 한국어2
(총 1과목)   (총 2과목)
중급
(TOPIK 3 ~ 4급)
중급 한국어1   중급 한국어2
요리하며 배우는 한국어   중급 한국문화 읽기
미디어로 배우는 한국어   비즈니스 한국어 입문
여행 한국어   공인한국어시험 3·4급연습
(총 4과목)   (총 4과목)
고급
(TOPIK 5 ~ 6급)
고급 한국어1   고급 한국어2
경제 한국어   실전비즈니스 읽기쓰기
실전 비즈니스 말하기 듣기   공인한국어시험 5·6급 연습
실용 한자어   한국어 통번역 입문
한국어 관용표현   한국어 시사표현
한국사회의 이해   인물한국사
비즈니스 한국어 프레젠테이션   한국문학의 세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공동]   한국어 기초문법 [공동]
(총 8과목)   (총 8과목)

한국어 교육 전공 공동 개설 과목: 한국어 기초문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개론

한국어 교원 2급 자격증 인증 과목: 한국어 기초문법 1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개론 3영역, 중급 한국문화 읽기 4영역, 한국문학의 세계 4영역, 한국사회의 이해 4영역

부전공 교육과정

부전공 교과목 안내 학년별, 학기별 테이블
학년 1학기   2학기
과목구분 과목명 학점   과목구분 과목명 학점
1 전선 한국어 기초문법 3   전선 *한국어 기초문법 3
전선 언어학의 이해 3   전선 한국어교육과
언어교수이론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3   전선 한국어학의 이해 3
2 전선 한국문화와 타문화 이해 3        
3 전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 3   전선 대조언어학 3
        전선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3
4 전선 *한국어교육실습 3   전선 *한국어교육실습 3
        전선 한국언어문화의 이해 3

부전공 시 이수 권장 교과목(21학점)

부전공 시 이수 권장 교과목 - 구분, 과목명으로 구성
구분 과목명
1영역 한국어 기초문법
2영역 언어학의 이해(또는 대조언어학)
3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또는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한국어교육과 언어교수이론
4영역 한국문화와 타문화 이해(또는 한국 언어문화의 이해)
5영역 한국어교육실습
  • 한국어교육실습 과목은 아래 사전 필수 이수 과목을 포함하여 1, 3영역 4과목(12학점) 이상 이수 시 수강 가능함
  • 2022년 이전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 교육론‘, ‘언어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문화의 이해’ 수강자는 한국어교원자격증 과목으로 인정됨.

※ 한국어교육실습 사전 필수 이수 교과목

한국어교육실습 사전 필수 이수 교과목 - 구분, 과목명으로 구성
구분 과목명
1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또는 한국어 기초문법)
3영역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또는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한국어교육과 언어교수이론

2022년 이전 ‘이주민을 위한 한국어교육론’ 수강자는 한국어교육실습 수강 자격 요건으로 인정함.

한국어학부 학습로드맵
  한국어교육전공   한국어전공
   
기초 한국어 어문규정 초급 Topik
1~2
초급 한국어1
한국어 기초문법 [1,2학기 개설] 초급 한국어 2
언어학의 이해  
한국어학의 이해  
한국어 화법의 이해  
한국어 말소리의 이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한국어교육과 언어교수이론  
 
심화 한국어 단어의 이해 중급 Topik
3~4
중급 한국어 1
외국어습득론 중급 한국어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교육론 중급 한국문화 읽기
한국문화와 타문화 이해 비즈니스 한국어 입문
한국 문학의 이해 요리하며 배우는 한국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론 미디어로 배우는 한국어
한국어 의미화용론 공인한국어시험 3·4급 연습
한국어 어휘교육의 이론과 실제 여행 한국어
 
응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해교육론 고급 Topik
5~6
고급한국어 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평가론 고급한국어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교육론 실용한자어
한국대표 문학작품 감상 경제 한국어
동남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한국어 통번역 입문
동북아시아권 한국어교육론 실전 비즈니스 읽기쓰기
한국문화교육론 실전 비즈니스 말하기듣기
한국 언어문화의 이해 공인한국어시험 5·6급 연습
한국어교육과 멀티미디어  
최고급 Topik
6
인물한국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교재 한국사회의 이해
대조언어학 한국문학의 세계
응용언어학 한국어 관용표현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한국어 시사표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표현교육론 한국어 기초문법
한국어교육실습 [1,2학기 개설] 비즈니스 한국어 프레젠테이션
영어권 한국어교육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개론
문의처 (담당부서 : 한국어학부)

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