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23 으로 알아보는 2023 트렌드 키워드 10
안녕하세요.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입니다.
매년 연말이 되면 다음 해를 준비합니다.
이런 과정에서 바빠지는 곳들이 많죠.
그중에 서점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서점에서 참고서, 문제집 등
공부를 위한 책을 사거나,
에세이, 자기 계발서 등을 읽고
한 해 계획을 세우기도 하거든요.
덕분에 많은 책이 쏟아지고 인기를 얻는 책들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다가오는 새해를 전망하는 책은
나이, 성별, 직업을 불문하고 인기가 좋습니다.
특히 김난도 교수 등 전문가로 구성된
서울대 트렌드분석센터가 만든
‘트렌드 코리아 2023’ 는 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인기도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 책에서 소개한 2023년 트렌드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사이버한국외대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평균 실종
우리는 대다수라고 여기는 것의
근거로 드는 이유를 ‘평균’에서 찾곤 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경제적 양극화,
소비의 개인화, 가치의 다양성 증대로
당연하게 여겼던 전형성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평균으로 표현할 수 있는
무난한 상품, 보통의 의견, 정상의 기준이
변화하고 있는 것입니다.
평균이 큰 의미를 갖지 못하는 세상이 된 요즘은
개개인성의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고 합니다.
2. 오피스 빅뱅
코로나19로 인한 근무 패러다임의 변화,
조직보다 나를 중시하는 가치관 등으로
출퇴근과 워라밸,
재택과 하이브리드 근무가 섞이면서
과거의 직장문화는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기존 조직 관행에 대한
의문에서 나온 여러 현상들을
이 책에서는 ‘오피스 빅뱅’ 이라는 용어로 표현했네요.
3. 체리 슈머
예전 온라인 소비자의 트렌드는 구매는 하지 않으면서
혜택만 챙겨가던 ‘체리피커’였습니다.
1인 가구 확산에 따른 소비 변화와
세계적인 경제 위기로 인해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알뜰하게 소비하는 ‘체리슈머’가 나타났습니다.
무지출, 조각구매, 반반구매,
공동구매 전략 등을 사용하는 이들은 진일보한,
합리적인 소비자들입니다.

4. 인덱스 관계
SNS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와 소통하는 시대가 되면서
인간관계가 여러 인덱스(색인)로 분류되고
정리된다는 것인데요.
관계의 밀도보다 스펙트럼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친구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생각해보게 합니다.
5. 뉴디맨드 전략
비슷한 제품이 가득한 상품 과잉의 시대.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출시된 새로운 상품을
사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전략.
그 전략을 뉴디맨드 전략이라고 합니다.
<뉴디맨드 전략 예시>
①교체수요
- 품질, 디자인 등 업그레이드하기
- 환경, 프리미엄, 럭셔리 등 컨셉 입히기
- 렌탈, 구독, 후불 등 지불방식 변화하기
②신규수요
- 과거에 없던 상품 출시(예: 스마트폰)
- 새로운 카테고리 상품 출시(예: 냉장고 > 김치냉장고)
- 나만의 맞춤형 상품 출시
6. 디깅모멘텀
한 분야를 끝까지 파고들어서
행복한 과몰입을 즐기는 사람들,
즉 디깅러의 세상이 온다는 것입니다.
자신의 열정과 돈, 시간을 아낌없이 투자하는 디깅러는
과거의 ‘오타쿠’와 달리 현실도피적이지 않으며
‘덕후’나 ‘팬슈머’보다 진일보한 사람으로 평가됩니다.
이런 디깅러들이 늘어나는 트렌드를
디깅모멘텀이라고 표현했네요.

7. 알파세대가 온다
최근 모든 흐름을 잡는 MZ세대지만,
2010년 이후 탄생한 알파세대가
앞으로의 트렌드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알파세대는 개인주의 가치관을 가진
밀레니얼 부모에게 태어나
저출산 추세에서 사랑을 독차지했고
진정한 의미의 디지털 원주민으로 성장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8. 선제적 대응기술
살면서 마주하게 되는 모든 순간에
요구하기 전에 미리 알아서
배려해주는 기술을 말합니다.
삶의 각종 편의를 넘어서
사회적 약자를 돕고
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기술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9. 공간력
온라인 세계의 영향력이 확장되며
오프라인 ‘공간’의 힘이 주목받게 됩니다.
사람을 모으고 머물게 하는 공간의 힘인 ‘공간력’
실제 공간은 온라인의 상대 개념이 아니라
우리 삶의 근본적인 토대이자 터전으로
아무리 정교한 가상공간도
실제를 이길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10. 네버랜드 신드롬
평균수명이 길어지고
사회적 나이 개념이 흐려지자
네버랜드의 피터팬처럼
나이 들기를 거부하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어린 시절로 돌아가려 하고
나이 들지 않고 젊게 머무르려 하며
아이들처럼 재미있게 놀고자 합니다.
/
지금까지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와 함께
2023 트렌드 전망을 알아보았습니다.
트렌드 코리아에서 소개한 2023년 전망에 대해
공감하는 내용도 있고
‘정말 그런가?’ 싶은 내용도 있으실 거에요.
새해에는 어떤 트렌드가 어떻게
우리의 삶을 변화시킬지
기대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국내 사이버대학교 중
외국어 전공 재학생 수 1위에 빛나는
사이버한국외대는
2023년에도 여러분의 꿈을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